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번역 글쓰기 연습

천문학을 공부하는 이유 본문

천문학

천문학을 공부하는 이유

▲△ 2020. 7. 30. 08:58

요즘 들어 천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전공자도 참 많아지고 있습니다. 왜 우리는 천문학을 공부할까요. 오늘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천문학 학생들은 매년 대학교의 입학식에서 어떠한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는 실제로 일반 학생들이 천문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많은 천문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처음에는 별과 너무나 아름다운 우주 사진을 보고 또는 실제로 별이 빛나는 하늘과 우주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했습니다. 현대에는 천문학의 발달이 매우 커서 하나의 직업이 될 수 있고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지금 세대의 과학은 평범한 별을 관찰하는 단순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천문학은 다양한 천체의 운동과 물리학 화학까지도 다룹니다. 천체의 성분과 원리 그리고 어떻게 진화해왔는가 방법에 대한 연구와 같이 엄청나게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우주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모든 연구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천문학은 크게 분류하자면 주로 관측을 하는 관측 천문학과 이론을 공부하는 이론 천문학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관측 천문학은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듯이 다양한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을 통해 우주를 이해하고 데이터를 얻고 분석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이외에도 우주에는 매우 다양한 다른 빛들이 있습니다. 빛은 파장의 하나일 뿐이며 인간의 특성상 가시광선만 우리 눈에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가시광선은 전체 전자장의 아주 일부분을 차지할 뿐입니다. 그래서 이 가시광선의 영역에서 우주를 관찰하는 것은 너무나 작은 것이죠. 파장에 따라 실제로 다른 유형의 전자기파가 있습니다. 실제 눈으로는 볼 수없지만 특정한 망원경을 통해 관측한 다양한 전자기파는 우주의 이해에 엄청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가시광선보다 긴 파장은 전파와 적외선 및 마이크로파입니다. 짧은 파장은 주로 자외선과 엑스선 및 감마선입니다. 20세기에 노벨 물리학상은 우주 마이크로파의 백그라운드가 된 방사선을 발견 한 미국 과학자들에게 주었습니다. 이 발견으로 인해 빅뱅의 존재가 밝혀졌습니다. 아주 위대한 발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발견이 빅뱅 이론에 대한 중요한 증거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천문학자가 된다는 것은 것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고 종종 관측 기구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제에 직면해야 합니다. 관측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관찰하는 동안 20 시간 이상 한 곳에 머물러 있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 학생들이 생각한 것과는 많이 다릅니다.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이론적 차원에서 별의 진화와 물질 형성 및 태양계 그리고 은하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우주의 전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것을 우주론이라고 합니다. 학생들은 우주의 기원과 우주의 운명 등 우주론의 범위에 속하는 다른 주제에 대해 항상 들어왔습니다. 스티븐 호킹이 바로 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입니다. 우주의 관한 이론을 성립하고 블랙홀을 연구한 것이 바로 스티븐 호킹입니다. 이론을 공부하는 천문학자들은 보통 망원경과 다른 기구를 작동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화학과 물리 그리고 수학에 대한 기초는 기본이고 타고난 지혜와 상상력 같은 재능을 요구합니다. 또한 천문학자들과 협력도 하기에 천문학적인 지식도 엄청나게 필요합니다. 결국 막연하게 생각하다가는 힘들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성에 대한 연구  (0) 2020.08.01
화성 탐사의 미래  (0) 2020.07.31
블랙홀의 새로운 발견  (0) 2020.07.25
천문대의 설치 위치  (0) 2020.07.24
소행성에 대한 논문  (0) 2020.07.24
Comments